시장조사

뉴스로 본 한국의 ESG 동향과 전망

[Translate to Coréen:] Tendances et perspectives de la gestion ESG en Corée du Sud : une analyse à partir du prisme médiatique

ESG는 최근 20년간 역동적인 변화를 겪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이 명확해진 2000년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의 투명한 지배구조의 중요성이 강조된 2010년대가 지나고, 2020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가 강조되었다.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ESG라는 개념이 중요시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이다. 기후변화 위기 및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전 세계에서 ESG 가치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었고, 주주가치 중심의 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전환되는 패러다임이 구축되었다. 이에 국내에서도 ESG는 일부의 사회책임투자자 뿐만이 아닌 기관투자자와 기업에 기회와 리스크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한국 기업의 ESG 리스크를 식별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소(Who’s Good)에서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ESG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뉴스를 분석하고 있다. 202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국내 상장사 2,699개사 대상 ESG 사건사고 뉴스를 분석한 결과, ESG 사건사고 뉴스가 총 23,419건이었으며 총 623개사에서 사건이 발생했다. 국내 상장기업 4개사 중 1개사에서는 ESG 이슈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다.   

 

공급망 리스크 등 다양한 사회(S) 분야 문제의 증가

 

2021년의 국내 ESG 뉴스의 동향을 분석해 보았을 때, 전년도와 가장 다른 점은 환경과 사회 관련 사건사고 뉴스가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5년 전인 2017년과 비교하면 기업의 환경 관련 사건 사고 뉴스 수는 2.4배, 사회 관련 뉴스 수는 2.6배 증가하였고, 지배구조 관련 뉴스 수는 약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ESG 사건사고 발생 기사 수

 

사회 관련 2021년 기사는 12,592건으로 E・S・G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이 보도되었고, 이는 지배구조 관련 뉴스(7,581건)보다 1.7배 많았다. 특히, 2015년 분석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도덕성’이 아닌 사회의 ‘소비자 문제’(4,537건)가 가장 많이 보도된 ESG 이슈가 되었다는 점에서 사회 이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덕성’ 이슈는 경영진의 횡령, 배임, 탈세 등의 문제가 포함되며, ‘소비자 문제’는 제품의 안전성, 리콜 등 제품 및 서비스 책임 이슈 및 개인정보 보호, 소비자 분쟁 등 소비자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이슈를 다루고 있다.

이렇게 사회 문제가 부각된 것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ISS(International Shareholder Services)는 2021년 기업 컨트로버시 리포트에서 2021년의 Top 키워드로 ‘근무환경’을 꼽았고, 팬데믹으로 인해 직장내 직원의 건강과 안전한 근무환경이 강조되며, 특히 공급망 내에서의 노동자 인권도 부각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2021년 한국 뉴스에서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관련 기사는 총 2,885건이었는데, 이는 전년 대비 약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협력업체의 ‘근무환경’, ‘사업장 안전보건 위반’ ‘불공정 관행’ 관련 뉴스가 다수 발생했다. 공급망 리스크가 부각되는 이유로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유럽발 공급망 실사 의무화를 들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서 글로벌 분업체계의 취약성을 체감하게 되었다. 한편 유럽연합은 2021년 3월 ‘지속가능한 공급망 실사 및 기업책임’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 공급망의 인권과 환경 실사를 의무화하는 법을 제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은 실사 의무화법을 시행중이며,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EU기업에 제품을 공급하는 한국의 협력업체에게 중요한 컴플라이언스 리스크로 인식되었다.

 

중소기업에 요구되는 ESG 경영과 지속가능성 연계 대출의 확대

 

대기업들이 협력업체에 ESG 실사 등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ESG는 중소기업에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환경경영 측면에서 많은 중소기업은 환경전략이나 환경경영 전담조직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공급망 내 중소기업 621개를 대상으로 ESG 대응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20% 정도의 중소기업은 ESG 평가 요구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나, ESG 평가를 요구하는 거래처의 지원은 ‘전혀 없음’ (64.5%), ‘약간 지원하나 거의 도움 안됨’ (16.9%)로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생존하는 것이 최대 과제인 중소기업에서 ESG 관리 시스템 도입 및 구축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의 ESG 경영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소기업에게 금리 인센티브를 통해 지속가능전략을 보완하고 ESG 이슈 관리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연계 대출(Sustainability Linked Loan) 상품이 국내 최초로 2022년 2월 출시되었다. 지속가능성 연계 대출은 대출자의 지속가능성 성과 목표 이행 정도에 따라 은행이 금리를 조정하는 대출이다. 기업이 약속된 기간 내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금리 혜택이나 페널티가 주어진다.

국내 최초의 지속가능성 연계 대출 상품은 출시 6개월 만에 245개사, 대출규모 932억원을 돌파하였다. 신청기업들은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에너지 효율 개선 △ 용수 사용량 절감 △ 폐기물 배출량 감소 △ 산업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구축 등의 항목 중 1~2개의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에 대한 개선 계획을 제출하고 1년 뒤에 개선 상황에 대한 검증을 받게 된다. 신청기업들의 41%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및 ‘에너지 효율 개선’, ‘재생에너지 생산(신규설비 도입)’, 6%는 ‘폐기물 배출량 감소’ 및 ‘재활용률 개선’, 14%는 ‘산업안전보건 인증 취득’ 등을 목표로 설정하여 금리 혜택을 받았다.

투자자를 중심으로 시작된 ESG라는 개념은 이렇듯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주주뿐만 아니라 직원, 지역사회, 소비자, 환경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용하기 위한 기준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상장사 뿐만이 아닌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공공기관에도 ESG 경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ESG에 대한 관점의 변화로 인해 더 지속가능한 기업에 자본이 유입될 수 있기를 바란다.

테마별 이벤트

이벤트  • …

세빛섬, 가빛 컨벤션 2층  •  Seoul

FKCCI 바스티유데이

매년 800여 명의 한불 비즈니스 커뮤니티가 만나서 공유하고 즐기는 바스티유데이 행사에 참여하고 프랑스 대혁명 기념일을 함께 축하해요!

Share this page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Share on Linkedin